이혼, 마음만으로는 끝나지 않습니다

이혼을 결심한 뒤 가장 먼저 부딪히는 벽은 ‘어디에, 어떻게 신청해야 하나?’ 하는 절차적인 부분입니다. 감정적으로도 복잡한 시기이지만, 정확한 절차를 알아두면 조금은 덜 막막해집니다. 가정법원에 이혼신청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주변에 이혼을 경험한 지인이 있어도, 막상 직접 진행하려면 머릿속이 복잡해집니다. 서류는 어떤 걸 준비해야 하는지, 어느 법원에 가야 하는지, 소송이 필요한 건지 헷갈리는 부분이 많죠. 특히 가정법원에 이혼을 신청하려면 반드시 절차에 맞춰 준비해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협의이혼과 재판이혼 먼저 구분하여 이해하기 이혼 절차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1. 협의이혼 부부가 이혼에 합의한 경우입니다. 소송까지 가지 않고, 가정법원에 신청한 뒤 숙려기간을 거쳐 확정됩니다. 자녀가 있는 경우엔 3개월, 자녀가 없으면 1개월의 숙려기간이 필요합니다.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관할 가정법원에 이혼의사 확인신청서 제출 법원에서 이혼 안내 교육 또는 상담 진행 숙려기간 경과 후, 법원에 다시 출석하여 이혼의사 최종 확인 이혼확인서 발급 → 3개월 이내에 구청에 신고 2. 재판상 이혼 한쪽이 이혼을 원하지 않거나, 협의가 불가능한 경우입니다. 가정법원에 이혼소장을 제출해 정식 재판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재판이혼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가능합니다. 배우자의 외도 폭행이나 심각한 갈등 경제적 무책임 장기간 연락 두절 등 이 경우 변호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훨씬 수월합니다. 특히 재산분할, 양육권 문제 등이 얽혀 있다면 전문가 상담부터 받는 걸 권합니다. 어디서 신청해야 하나요? 이혼 신청은 부부 중 한 사람의 주소지 관할 가정법원에서 할 수 있습니다. 서울의 경우 서울가정법원, 지방은 각 지역의 지방법원 가사과가 담당합니다. 예를 들어, 부부가 경기도에 살고 있다면 수원지방법원 가사과가 해당됩니다. 준비해야 할 서류는? 협의이혼 기준으로는 다음과 같은 서류가 필요합니다. 이혼의사 확인신청서 가족...

법원 회생절차 중 채권자집회는 어떤 것인가?

 개인회생 사건에 있어 채권자집회는 채무자가 법원에 제출한 변제계획안에 대해 개인회생채권자들이 채무자로부터 설명을 듣고 결의에 부치지 않은 채로 변제계획안에 대한 이의진술의 기회만 부여하여 집회를 종료함으로써 변제계획안의 인가 여부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결정하기 위한 절차입니다.


법원개인회생 채권자집회 기일 진행

개인회생에서 채권자집회는 개인파산절차와 달리 개인회생절차에 있어 개인회생채권자들에 대한 결의를 거치기 위한 절차가 아니라 그저 채무자가 제출한 변제계획안에 인가요건을 충족하였다는 점에 대해 이의가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이러힌 절차에서 개인회생채권자, 회생위원의 이의진술이 없다면 변제계획안이 인가요건을 구비하고 있는지 검토하여 인가요건을 갖추었다고 판단되면 변제계획 인가결정을 하게 됩니다.


개인회생채권자, 회생위원의 이의 진술이 있는 경우에라도 인가요건을 구비했다고 판단되면 인가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집회기일 채무자 불출석

법원에서 지정한 채권자집회기일에 만약 채무자가 아무런 이유없이 출석하지 않았다면 개인회생절차를 폐지하는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참고로 1회 정도 불출석한 경우에는 채무자에게 너무 가혹하여 2회 이상 불석한하는 경우에 반드시 폐지 결정을 내리게 하는 것이 실무상 진행 절차라 하겠습니다.


참고로 채권자집회기일에 채무자가 출석하지 않더라도 채권자집회를 진행 또는 종료하는 것에는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습니다.